Computer Science/Linux Command Line

Linux 네트워크 수동 설정

c4fiber 2025. 4. 10. 16:44

이전 글 확인하기 

 

2025.04.10 - [Linux/Command Line] - nmcli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 및 연결하기

 

nmcli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 및 연결하기

라즈베리 파이 4를 이용해서 network 구축을 시도했다.Pi OS(64bit) 기준으로 설명한다. 네트워크 활성화 하기  주로 이더넷 (eth0, eth1, ...) 혹은 무선랜(wlan0, wlan1, ...)으로 출력된다.실제 사용하는 네

bycracks.tistory.com

 

해당 글에서는 nmcli 명령어로 네트워크 어댑터를 상태를 확인하고 활성화 하여 네트워크 연결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번에는 네트워크 설정문제로 인해 연결하지 못할 경우에 대처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Rocky Linux 기준이다.

 

IP 주소 설정 확인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vi ifcfg-<network_interface_id> # ex) ens33, eno1 등

 

ifcfg-ens33

 

다음과 같이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을 볼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ONBOOT=yes 를 설정해서 부팅 시 자동 활성화 되도록 하자.

 

자동 설정 vs 수동 설정

자동 설정은 1가지만 설정하면 된다. BOOTPROTO=dhcp 그리고 다음에 따라올 IPADDR, GATEWAY, PREFIX, DNS를 지워야 한다.

자동 설정 (DHCP) 사용 예시

 

수동 설정은 값을 임의로 지정해줘야 한다.

IPADDR, GATEWAY, PREFIX, DNS 네가지가 주요 설정값이다.

  • IPADDR : 내가 사용할 IP주소를 작성한다. 
  • PREFIX : 네트워크 대역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네트워크 정보가 192.168.0.0/24 이라면 뒤에 붙는 숫자 24와 같다. 서브넷 마스크로 표현하면 255.255.255.0) 
  • GATEWAY : 내가 존재하는 네트워크(서브넷)의 게이트웨이 주소를 적는다. (보통 192.168.0.1 과 같이 마지막 숫자가 1인 경우가 대다수다.)
  • DNS : Domain Name Server 주소를 적는다. 구글 : 8.8.8.8, 8.8.4.4 / cloud flare : 1.1.1.1, 1.0.0.1